“도시는 하나의 중심지로는 부족해요!” 해리스·울만의 다핵심이론 총정리
대도시일수록 중심이 여러 개! 다핵 구조로 도시를 보는 시선
도시공간구조 이론 중
가장 최근 등장한 현대적인 개념,
바로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이론이에요.
기존의 도시이론(동심원, 선형)은
도시가 하나의 중심지(CBD)를 중심으로
확장된다고 봤지만,
다핵심이론은 그 틀을 깼어요.
현실을 보면요,
대도시일수록 상업지, 공업지, 주거지가
서로 다른 장소에 따로 형성돼있죠?
바로 이런 현실을 반영해서
도시는 중심지가 여러 개 형성되고
기능별로 집적과 분산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게
다핵심이론입니다.
시험에서는 “CBD 하나가 아니라 여러 핵이 생긴다”
“기능별로 공간이 분화된다”
이런 표현이 등장하면 바로 다핵심이론이에요!
이 글에서는
핵의 개념, 업종별 공간 분포,
시험에서 나오는 표현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다핵심이론이란? 도시가 ‘하나의 중심지’로만 구성되지 않는다는 이론이에요
해리스와 울만은
현실 도시를 보면서
“CBD 하나로는 부족하다!”고 봤어요.
그래서 도시 내에 여러 개의 중심(핵)이 생기고
각 핵마다 다른 기능이 분화돼 있는 구조를
다핵심이론으로 설명했죠.
이건 대도시일수록 훨씬 잘 드러나는 패턴이에요.
상업핵, 공업핵, 주거핵 등 기능별 중심지가 따로 생겨나요
도시를 보면,
한쪽은 공업단지, 다른 쪽은 주거지,
또 다른 쪽은 상업지처럼
기능별로 공간이 나뉘고 중심이 다르잖아요?
이걸 이론적으로 설명한 게 다핵심이론이에요.
도심 외곽에 생긴 부도심이나 산업지구는
이 이론에서 말하는 ‘핵’ 중 하나입니다.
동종 기능은 ‘집적’되고, 이질적 기능은 ‘분산’됩니다
다핵심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 바로 이거예요.
비슷한 기능끼리는 모여 있어요(예: 패션상가, 산업단지)
반면에 서로 다른 기능은 떨어져 있어요.
예를 들어 공업지 옆에 고급 주택지는 잘 안 생기죠?
이런 집적 vs. 분산 구조를 이해하면 시험에서도 헷갈리지 않아요!
산업별 지대 지불 능력 차이가 공간 분화를 만든다!
고급 사무업종은 CBD처럼
비싼 지대를 감당할 수 있어 도심에 입지하지만,
지대 지불 능력이 낮은 산업이나 공장은
도심 외곽, 교통 좋은 곳에 자리를 잡아요.
이렇게 입지 능력 차이 때문에
핵이 분산되고 다핵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예요.
도시가 커질수록 다핵 구조는 점점 더 뚜렷해져요
도시가 작을 땐 중심지가 하나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도시가 커지면
기능별로 분산되지 않으면 혼잡하고 비효율적이라서
자연스럽게 상업, 주거, 산업 중심이 따로 생기게 돼요.
그래서 다핵심이론은
현대 대도시 구조 설명에 가장 잘 맞는 이론이기도 해요.
시험에선 이런 표현이 나오면 다핵심이론이에요!
“CBD 이외에도 부도심이 형성된다”
“상업, 공업, 주거가 기능별로 분화된다”
“이질적 기능은 분산되고, 동질적 기능은 집적된다”
이런 표현이 등장하면
무조건 다핵심이론입니다!
동심원·선형이론과 다르게
도시를 여러 개의 중심으로 보는 유일한 이론이라는 걸 기억하세요!
다핵심이론, 수험생들이 자주 물어보는 질문!
🔸 왜 중심지가 여러 개 필요한가요?
👉 도시가 커질수록 기능이 다양해지고,
하나의 중심지로는 감당이 안 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상업, 공업, 주거 등 각 기능에 맞는
‘부도심’이 따로 생겨나는 거죠.
🔸 기능별 분화와 집적·분산은 무슨 의미에요?
👉 비슷한 기능은 한곳에 모이는 게 효율적이라 ‘집적’,
반대로 이질적 기능은 서로 간섭하니까 떨어져 있게 ‘분산’되는 걸 말해요.
예: 공장과 고급 주택은 서로 안 어울리니까 멀리 떨어지게 돼요.
🔸 다핵 구조는 모든 도시에 적용되나요?
👉 아니요~!
소도시보다는 대도시일수록 다핵 구조가 잘 나타나요.
그래서 서울, 부산 같은 대도시를 설명할 때 자주 쓰이는 이론이에요.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이론은
“도시는 단일 중심지가 아니라 여러 기능 중심지가 있다”
“동종 기능은 모이고, 이질 기능은 떨어진다”
이 포인트만 정확히 기억하면
시험에서도 절대 헷갈릴 일 없어요!
특히 동심원·선형이론과의 비교 문제가 자주 출제되니까
‘하나 vs 여러 개’ 구조 차이를 확실히 잡아두시면
도시공간구조 파트는 끝났다고 보셔도 됩니다
혹시 기출 문제 중에
“상업핵, 공업핵이 따로 있다”는 문장 보셨나요?
바로 이 이론이니 다시 한번 정답 체크해보세요!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인율? 요구수익률? NPV 계산 원리 해석 부동산 학개론 1차 투자론 공인중개사 (1) | 2025.06.27 |
---|---|
외부효과부터 정보비대칭까지, 시장실패가 뭐길래 이렇게 자주 나올까? 공인중개사 1차 부동산학개론 정책론 공부 요약 꿀팁 정리 (1) | 2025.06.26 |
호이트의 부채꼴 이론 완전정리! 선형이론 핵심 공인중개사 1차 부동산 학개론 공부 요약 꿀팁 암기 (1) | 2025.06.24 |
슬럼화? 부동산 학개 시장론 동심원이론 점이지대(Transition zone) 공인중개사 1차 개념 정리 CBD (1) | 2025.06.23 |
입찰지대이론 곡선, 알론소 이론 쉽게 이해하기! 초과이윤 0? 부동산학개론 1차 공인중개사 (0)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