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Network Attached Storage)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도 어디에서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려받을수도있다
일반적으로 NAS는 개인이나 집단이 스스로 구축
본인 목적에 맞게 맞춤형으로 구축이 가능하다
DAS(Direct Attached Storage)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려받을 수 있으므로 인터넷이 필요없지만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어야 한다.
흔하게 사용하는 외장하드랑 비슷한 방법이지만
여러개의 하드를 장착하여 NAS처럼
레이드 구성도 가능하다
NAS와 DAS의 활용 용도
일반적인 데이터 저장 용도로는 DAS
파일 공유와 어디서든 수정하고
전송하고 전송받으려면 NAS
반응형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정품 슬림 컴퓨터 교체 및 업그레이드 i5 4460, ASRock H81M-HDS, 삼성 860 pro ssd (0) | 2023.07.14 |
---|---|
빠른 포맷/일반 포맷/로우레벨 포맷 차이점 USB,SSD,HDD,SDcard (0) | 2023.07.14 |
SSD vs USB vs HDD vs SD 데이터 장기보관(보존)기간 오래 시간 데이터를 보관하는 방법은? (0) | 2023.07.13 |
나만의 가성비 백패킹 용품 모음 (테이블 가방 배낭 텐트 매트 의자 버너 코펠 등 ) (0) | 2022.08.17 |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 컴퓨터 일반 ) 2019~2020기출문제 기반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