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냥한 집사가되는법, 고양이 언어MAAH 이리와 꼬리 언어까지

반응형

고양이 언어1. 고롱고롱

 

고양이의 "골골송" 또는 "퍼링" 소리에 대해 정리하면, 이는 고양이의 행복과 만족을 나타내는 소리입니다. 이러한 소리는 주로 어미고양이와 아기고양이 사이의 유대감을 나타내거나, 만족감과 행복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어미고양이의 젖을 빨면서는 소리를 내기 어려우므로, 목을 흔들어 소리 대신 진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성장한 집냥이가 여전히 이 소리를 내는 이유는 집사, 즉 사람을 보고 여전히 어머니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집사에게 안락함과 만족을 표현하기 위해 이 소리를 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양이가 아플 때 이 소리를 내어 통증을 경감시키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저주파 진동은 고양이의 뇌에서 베타엔돌핀 분비를 촉진하고, 행복감을 증가시키거나 통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진동을 인간이 느끼면 심신을 안정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마음을 차분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요컨대, "골골송"은 고양이의 행복과 만족을 나타내는 소리로, 이것을 듣는 것은 우리에게도 평온함과 행복을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고양이 언어2. 냐아옹

냐아옹 소리는 가장 흔하게 들을 수 있는 소리 중 하나입니다. 아기 고양이는 이 소리로 엄마 고양이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추위와 배고픔을 호소합니다.

하지만 자연에서 생활하는 고양이들은 성장하면서 냐아옹 소리를 더 이상 내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소리를 내면 천적에게 위치를 드러낼 수 있으므로 자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소통 수단이 됩니다.

그러나 집에서 함께 사는 고양이들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냐아옹 소리를 더욱 발전시킵니다. 이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맥락에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냐아옹 소리는 반가움, 배고픔, 불만, 불안 등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고양이와 집사 사이의 특별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울음소리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며, 고양이와 집사가 서로를 오랜 시간 동안 알아가면서 발전한 의사소통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냐아옹"이라는 울음소리 하나로도 서로에게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고양이 언어3. 냥! 

 

"냥" 또는 "먁" 소리입니다. 이 소리는 고양이가 사람이나 친한 동료 고양이와 가볍게 인사하거나 소통할 때 내는 소리로 생각됩니다.

고양이들 사이의 인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습니다. 친한 사이의 경우 코를 서로 비비는 것이 일반적이며, 서열이 있는 상황에서는 더 정중한 방식으로 서로의 엉덩이 냄새를 맡는 인사를 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냥" 또는 "먁"이라는 짧은 소리를 내어 인사하는 고양이는 사람과 오랜 시간을 함께 지내며 사람의 언어와 인사를 배운 고양이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런 소리를 내면서 사람과 소통하거나 인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소리와 행동은 그들의 감정과 의도를 전달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며, 고양이와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의 언어와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더 나은 소통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언어4. "미야~" 혹은 "미야아아아앜" 

이 소리는 들리기도 하지만 거의 들릴 듯한 소리로, 실제로 초음파 영역대의 소리를 우렁차게 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리를 내면서, 고양이는 집사를 자신의 엄마로 생각할 때 이런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이 소리의 의미는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나랑 놀자," "나 여기 있어," "나 좀 봐줘" 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양이가 어리광을 부리거나 주인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려는 표현일 것입니다.

초음파 영역대의 소리로 인해 사람은 보통 쉰 소리 정도로 작게 들리며, 때로는 고양이의 목이 쉰 것인지 걱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양이들끼리 이 소리를 더 잘 듣는다고 합니다. 이는 주로 고양이들끼리의 소통을 위한 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 고양이는 개별적으로 자신만의 소리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소리로 의사소통합니다. 이러한 소리 언어는 고양이의 각자의 색깔과 성격을 반영하므로, 고양이와의 교감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 줍니다.

고양이와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의 특징과 의도를 이해하는 것은 보다 깊은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고양이의 소리 언어를 이해하면 더 풍요로운 소통을 즐길 수 있습니다.

 

고양이MAAH

최근 유튜브에서 화제가 되고있는 고양이MAAH, Ma-ah 라고 고양이에게 말하면 고양이들이 호다닥
다가오는 영상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저희집 고양이는 고양이MAAH에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귀찮은건지 제 발음이 이상한건지 모르겠습니다.

 

 

고양이 꼬리언어

 

고양이의 꼬리 언어는 그들의 감정과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 수단 중 하나입니다. 다음은 고양이의 꼬리 언어 몇 가지 예시입니다:

높게 들어진 꼬리: 고양이가 행복하고 안전한 상태일 때 꼬리를 높게 들이며 직선으로 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고양이가 기쁨을 느끼고 주변 환경에 만족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꼬리 흔들기: 빠르게 꼬리를 좌우로 흔들 때, 고양이가 흥분하거나 초조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고양이가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이나 호기심을 느낀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꼬리를 곧게 세우기: 고양이가 놀 준비가 되어 있거나 경계하고 있는 경우 꼬리를 곧게 세울 수 있습니다. 이것은 주로 경계심을 표현하거나 경고하는 신호입니다.

꼬리를 두고 위로 꼬기: 이것은 고양이가 자신의 존재를 주변에 알리고 싶어할 때 사용하는 행동입니다. 주로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 대한 관심을 나타냅니다.

꼬리를 물어봄: 고양이가 다가와서 꼬리를 상대방에게 대고 있을 때, 이는 친밀성을 표현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고양이가 사람에게 애정을 느끼고 있는 표시일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꼬리 언어는 개체마다 다를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양이의 언어를 이해하려면 그들의 몸 전체 동작과 함께 꼬리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고양이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